- 01. 변수 : 데이터 저장
- 02. 변수 : 데이터 저장 + 데이터 변경
- 03. 변수 : 데이터 저장 + 데이터 변경 + 데이터 추가
- 04. 변수 : 지역 변수 + 전역 변수(스코프)
- 05. 상수 : 데이터 저장 + 데이터 변경(X)
- 06. 배열 : 데이터 저장(여러개) : 표현방법1
- 07. 배열 : 데이터 저장(여러개) : 표현방법2
- 08. 배열 : 데이터 저장(여러개) : 표현방법3
- 09. 배열 : 데이터 저장(여러개) : 표현방법4
- 10. 객체 : 데이터 저장(키와 값) : 표현방법1
- 11. 객체 : 데이터 저장(키와 값) : 표현방법2
- 12. 객체 : 데이터 저장(키와 값) : 표현방법3
- 13. 객체 : 데이터 저장(키와 값) : 표현방법4
- 14. 객체 : 데이터 저장(키와 값) : 표현방법5
- 15. 객체 : 데이터 저장(키와 값) : 표현방법6
- 16. 객체 : 데이터 저장(키와 값) : 표현방법7
- 17. 객체 : 데이터 저장(키와 값) : 표현방법8
- ++ 식별자, 예약자
- ++ 연산자(전치)
- ++ 연산자(후치)
- ++ 형변환, typeof
- 형변환, typeof
01. 변수 : 데이터 저장
변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소입니다.
{
var x = 100; //변수 X에 숫자 100을 저장함
var y = 200; //변수 y에 숫자 200을 저장함
var z = "javascript" //변수 z에 문자 "Javascript"를 저장함
console.log(x);
console.log(y);
console.log(z);
}
결과 확인하기
100200
javascript
변수에 데이터 저장이 가능합니다.
변수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된 값을 호출하였습니다.
02. 변수 : 데이터 저장 + 데이터 변경
데이터를 저장 후 다른 값으로 변경합니다.
{
let x = 100;
let y = 200;
let z = "javascript";
x = 300;
y = 200;
z = "react"
console.log(x);
console.log(y);
console.log(z);
}
결과 확인하기
300200
react
변수에 데이터 저장이 가능합니다.
변수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된 값을 호출하였습니다.
02. 변수 : 데이터 저장 + 데이터 변경 + 데이터 추가
데이터를 저장 후 x,y는 덧셈을 합니다. 문자 z는 문자끼리 더해져 javascriptreact가 됩니다.
{
let x = 100;
let y = 200;
let z = "javascript";
x += 300; // x = x + 300
y += 400;
z += "react";
// let x = "100" + 300; --- 100300
console.log(x);
console.log(y);
console.log(z);
}
결과 확인하기
400600
javascriptreact
변수로 연산이 가능합니다.
변수를 이용해서 연산이 가능하고, 연산에는 산술연산자, 대입연산자, 비교 연산자, 논리 연산자, 비트 연산자, 상항 연산자가 있습니다.
03. 상수 : 데이터 저장(O) + 데이터 변경(X)
상수는 데이터 저장은 가능하나 변경은 불가능합니다. 상수(const)는 이미 선언한 상수에 대해 중복 선언이 불가능하며 상수의 값을 재지정 할 수도 없습니다.
{
const x = 100;
const y = 200;
const z = "javascript";
x = 300;
y = 400;
z = "react";
console.log(x);
console.log(y);
console.log(z);
}
결과 확인하기
Assignment to constant variable상수로 선언된 데이터는 변경이 불가능합니다.
상수로 데이터를 선언 후 데이터를 다른 값으로 변경하고. 에러가 발생하였습니다.
04. 변수 : 지역 변수 + 전역 변수(스코프)
지역변수(Local Variables)는 특정 함수나 블록 내에서 선언되어 사용되는 변수를 말합니다. 지역변수는 해당 함수나 블록 내에서만 유효하며, 함수나 블록이 실행을 마치면 소멸됩니다. 따라서 다른 함수나 블록에서는 해당 변수에 접근할 수 없습니다. 전역변수(Global Variables)는 함수나 블록 외부에서 선언되어 사용되는 변수를 말합니다. 전역변수는 프로그램 전체에서 사용 가능하며, 여러 함수나 블록에서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
let x = 100; //전역 변수
let y = 200; //전역 변수
let c = 700; //전역 변수
function func(){
let x = 300; //지역 변수
let y = 400; //지역 변수
c = 1000; //전역 변수
z = "javascript"; //전역 변수(z를 선언한적 없는데 작동 함.),(비추천)
console.log("함수안 : " + x);
console.log("함수안 : " + y);
console.log("함수안 : " + c);
console.log("함수안 : " + z);
}
func();
console.log("함수밖 : " + x);
console.log("함수밖 : " + y); //200
console.log("함수밖 : " + z); //javascript
}
결과 확인하기
300, 400, 1000, javascript100, 200, javascript
변수 : 지역 변수 + 전역 변수(스코프)
지역변수는 함수 내부에서만 작동이 됩니다. 전역변수는 전체영역에서 실행이 됩니다.
01~04까지 정리 : 상수 + 변수 : 데이터 저장 + 데이터 변경 + 데이터 연산
상수를 선언하여 데이터를 선언하고. 상수로 데이터 연산을 시작합니다. 변수 c를 선언하여 데이터를 변경 합니다.
{
const a = 10000;
const b = 20000;
console.log(a);
console.log(b);
// 연산자
console.log(a+b);
console.log(a-b);
console.log(a*b);
console.log(a/b);
console.log(a%b);
let c = 10;
c = "100";
c = 1000;
c += 1000;
console.log(c);
}
결과 확인하기
1000020000
30000
-10000
200000000
0.5
10000
2000
변수로 연산이 가능합니다.
변수 a와b에 데이터를 저장 후 연산을 하고나서 데이터를 출력하는 중입니다.
05. 상수 : 데이터 저장 + 데이터 변경(X)
상수는 데이터 저장만 가능하고 변경이 불가능합니다.
{
const x = 100;
const y = 200;
const z = "javascript";
x = 300;
y = 400;
z = "react";
console.log(x);
console.log(y);
console.log(z);
}
결과 확인하기
300400
react
배열의 인덱스 번호에 데이터 저장이 가능합니다.
배열 생성 후 배열의 인덱스 번호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호출하는 중 입니다.
06. 배열 : 데이터 저장(여러개) : 표현방법1
배열을 new로 선언하여 배열 인덱스에 저장 후 호출 중입니다.
{
const arr = new Array();
arr[0] = 100;
arr[1] = 200;
arr[2] = "javascript";
console.log(arr[0]);
console.log(arr[1]);
console.log(arr[2]);
}
결과 확인하기
100200
javascript
배열의 인덱스 번호에 데이터 저장이 가능합니다.
배열 생성 후 배열의 인덱스 번호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호출하는 중 입니다.
07. 배열 : 데이터 저장(여러개) : 표현방법2
배열을 new로 선언하여 데이터를 저장하여 호출 중입니다.
{
const arr = new Array(100, 200, "javascript");
console.log(arr[0]);
console.log(arr[1]);
console.log(arr[2]);
}
결과 확인하기
100200
javascript
배열의 생성자 안에 데이터 저장이 가능합니다.
배열 생성자 안에 데이터를 저장 후 호출하는 중 입니다.
08. 배열 : 데이터 저장(여러개) : 표현방법3
배열을 []로 생성하여 배열 인덱스에 데이터를 저장 후 호출 중입니다.
{
const arr = [];
arr[0] = 100;
arr[1] = 200;
arr[2] = "javascript";
console.log(arr[0]);
console.log(arr[1]);
console.log(arr[2]);
}
결과 확인하기
100200
javascript
배열 [] 대괄호 안에 데이터 저장이 가능합니다.
배열 [] 대괄호 안에 데이터를 저장 후 호출하는 중 입니다.
09. 배열 : 데이터 저장(여러개) : 표현방법4
배열을 []로 생성하여 데이터를 저장 후 호출 중입니다.
{
const arr = [100, 200, "javascript"];
console.log(arr[0]);
console.log(arr[1]);
console.log(arr[2]);
}
결과 확인하기
100200
javascript
배열을 const 상수로 생성하여 저장이 가능합니다.
상수인 배열 안에 데이터를 저장 후 호출하는 중 입니다.
10. 객체 : 데이터 저장(키와 값) : 표현방법1
객체를 new로 생성 후 객체 인덱스 번호에 저장하여 데이터를 호출 중입니다.
{
const obj = new Object();
obj[0] = 100;
obj[1] = 200;
obj[2] = "javascript";
console.log(obj[0]);
console.log(obj[1]);
console.log(obj[2]);
}
결과 확인하기
100200
javascript
객체를 new로 생성이 가능합니다.
객체를 new로 생성하고. 객체의 인덱스 번호 안에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11. 객체 : 데이터 저장(키와 값) : 표현방법2
객체를 new로 생성 후 명칭을 할당하여 데이터를 저장 및 호출합니다.
{
const obj = new Object();
obj.a = 100;
obj.b = 200;
obj.c = "javascript";
console.log(obj.a);
console.log(obj.b);
console.log(obj.c);
}
결과 확인하기
100200
javascript
객체를 new로 생성이 가능합니다.
객체를 new로 생성하고. 객체에 이름을 부여한 후 안에 데이터를 저장 및 호출합니다.
12. 객체 : 데이터 저장(키와 값) : 표현방법3
객체obj를 생성하고. 객체에 이름을 부여하여 데이터를 저장 후 출력을 하고 있습니다.
{
const obj = {};
obj.a = 100;
obj.b = 200;
obj.c = "javascript";
console.log(obj.a);
console.log(obj.b);
console.log(obj.c);
}
결과 확인하기
100200
javascript
객체를 {}로 생성이 가능합니다.
객체를 {}로 생성하고. 객체에 이름을 부여한 후 안에 데이터를 저장 및 호출합니다.
13. 객체 : 데이터 저장(키와 값) : 표현방법4
객체를 {}로 생성하여 데이터를 저장 후 데이터를 호출 중입니다.
{
const obj = {a:100, b:200, c:"javascript"};
console.log(obj.a);
console.log(obj.b);
console.log(obj.c);
}
결과 확인하기
100200
javascript
객체를 {}로 생성이 가능합니다.
객체를 {}로 생성하고. 객체 {} 안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름을 부여한다음 데이터를 저장 및 호출합니다.
14. 객체 : 데이터 저장(키와 값) : 표현방법5
배열 안에 객체를 저장하는 방법입니다.
{
const obj = [
{a:100, b:200},
{c:"javascript"}
];
console.log(obj[0].a);
console.log(obj[0].b);
console.log(obj[1].c);
}
결과 확인하기
100200
javascript
객체 : 데이터 저장(키와 값) : 표현방법5
배열 0번지에는 객체 a와c가 저장이되고. 배열 1번지에서 객체 c가 저장되어있습니다.
03번 정리 - 변수 : 데이터 변경 + 산술 연산자
변수로 데이터를 선언 후 저장시키고. 변수 x에 저장된 값을 더하기 하고. 값을 저장 시킨 뒤 뺼셈을 하여 데이터를 저장했습니다.
{
let x = 100;
let y = 200;
let z = "javascript";
x -= 1000;
x += 1000;
console.log(x, y, z);
}
결과 확인하기
100200
javascript
변수로 데이터 연산이 가능합니다.
변수x,y,z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x에 저장된 값을로 덧셈과 뺼셈을 한뒤 x,y,z를 호출합니다.
08번 정리 - 배열 : 데이터 저장(여러개) : 표현방법 복습
배열을 생성하여 객체를 할당하고 인덱스 번호로 객체를 호출 중 입니다.
{
const brr = new Array();
const crr = new Array(200, "react", false);
const drr = [];
const err = [300, "arrat", true];
brr[0] = 100;
brr[1] = "javascript";
brr[2] = true;
drr[0] = 100;
drr[1] = "javascript";
drr[2] = true;
console.log(brr[0], brr[1], brr[2]);
console.log(crr[0], crr[1], crr[2]);
console.log(drr[0], drr[1], drr[2]);
console.log(err[0], err[1], err[2]);
}
결과 확인하기
100 javascript true200 react false
100 javascript true
300 arrat true
배열을 new로 생성합니다.
배열 안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배열의 인덱스 번호로 데이터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호출 중입니다.
12번 객체 복습 : 데이터 저장(키와 값) : 표현방법1 복습
배열을 생성하여 객체를 할당하고 인덱스 번호로 객체를 호출 중 입니다.
{
const obj = [
{a:100, b:200},
{c:"javascript"}
];
console.log(obj[0].a);
console.log(obj[0].b);
console.log(obj[1].c);
}
결과 확인하기
100200
javascript
배열 안에 객체가 존재 할 수 있습니다.
배열의 각 인덱스 번호에 객체를 생성한 후 배열 안의 객체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호출하는 중입니다.
12번 객체 복습2 : 데이터 저장(키와 값) : 표현방법2 복습
객체obj를 new로 생성하고. 객체에 이름을 부여하여 데이터를 저장 후 호출합니다.
{
const obj = new Object();
obj.a = 100;
obj.b = 200;
obj.c = "javascript";
console.log(obj.a);
console.log(obj.b);
console.log(obj.c);
}
결과 확인하기
100200
javascript
객체를 new로 생성이 가능합니다.
객체를 new로 생성하고. 객체에 이름을 부여한다음 데이터를 저장 및 호출합니다.
12번 객체 복습3 : 데이터 저장(키와 값) : 표현방법3 복습
객체obj를 {} 중괄호 형식으로 생성하고. 객체에 이름을 부여하여 데이터를 저장 후 호출합니다.
{
const obj = {};
obj.a = 100;
obj.b = 200;
obj.c = "javascript";
console.log(obj.a);
console.log(obj.b);
console.log(obj.c);
}
결과 확인하기
100200
javascript
객체를 {}로 생성이 가능합니다.
객체를 {}로 생성하고. 객체 {} 안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름을 부여한다음 데이터를 저장 및 호출합니다.
12번 객체 복습4 : 데이터 저장(키와 값) : 표현방법4 복습
객체obj를 {} 중괄호 형식으로 생성하고. {}안에 데이터를 저장 후 호출합니다.
{
const obj = {a:100, b:200, c:"javascript"};
console.log(obj.a);
console.log(obj.b);
console.log(obj.c);
}
결과 확인하기
100200
javascript
객체를 {}로 생성 후 안에 데이터 저장이 가능합니다.
객체를 {}로 생성하고. 객체 {} 안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름을 부여한다음 데이터를 저장 및 호출합니다.
12번 객체 복습5 : 데이터 저장(키와 값) : 표현방법5 복습
객체obj를 {} 중괄호 형식으로 생성하고. {}안에 데이터를 저장 후 호출합니다.
{
const arr = [
{a:100, b:200},
{c:"javascript"}
];
console.log(arr[0].a);
console.log(arr[0].b);
console.log(arr[1].c);
}
결과 확인하기
100200
javascript
배열 안에 객체를 {}로 생성이 가능합니다.
배열 안에 객체를 {}로 생성하고. 배열의 인덱스 번호에 접근해서 객체 {} 안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름을 부여한다음 데이터를 저장 및 호출합니다.
15. 객체 : 데이터 저장(키와 값) : 표현방법6
객체를 생성하고 그 안에 배열을 만들어서 객체와 객체 안의 배열을 호출 중입니다.
{
const obj = {
a:100,
b:[200, 300],
c:{x:400, y:500},
d:"javascript"
};
console.log(obj.a);
console.log(obj.b[0]);
console.log(obj.b[1]);
console.log(obj.c.x);
console.log(obj.c.y);
console.log(obj.d);
}
결과 확인하기
100200
300
400
500
javascript
객체 안에 배열을 생성 할 수 있습니다.
객체를 생성하고 안에 배열을 생성한다음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그 후 객체는 이름으로 접근하고. 배열에는 인덱스 번호와 이름으로 접근하여 데이터를 호출합니다.
16. 객체 : 데이터 저장(키와 값) : 표현방법7
상수를 선언하고 객체obj에 할당하여 호출 중입니다.
{
const a = 100;
const b = 200;
const c = "javascript";
const obj = {a,b,c};
console.log(a);
console.log(b);
console.log(c);
}
결과 확인하기
100200
javascript
객체 안에 데이터를 변수명을 줍니다.
객체를 {}로 생성하고. 객체 {} 안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름을 부여한다음 데이터를 저장 및 호출합니다.
17. 객체 : 데이터 저장(키와 값) : 표현방법8
객체 안에서 함수를 선언하고 함수를 호출 중입니다.
{
const j = "javascript";
const obj = {
a: 100,
b: [200, 300],
c: "javascript",
d: function(){
console.log("javascript가 실행되었습니다.");
},
e: function() {
console.log(obj.c + "가 실행되었습니다.");
},
f: function() {
// this : 자기 자신
console.log(this.c + "가 실행되었습니다.");
}
}
console.log(obj.a);
console.log(obj.b[0]);
console.log(obj.b[1]);
console.log(obj.b[2]); //undefind
console.log(obj.c);
console.log(obj.d); //(X)
obj.d();
obj.e();
obj.f();
}
결과 확인하기
100200
300
undefined
javascript
f() function(){console.log("javascript가 실행되었습니다.");}
javascript가 실행되었습니다.
javascript가 실행되었습니다.
javascript가 실행되었습니다.
객체 안에 객체, 배열, 함수 선언이 가능합니다.
객체를 생성하고 객체는 이름으로 접근하고. 배열에는 인덱스 번호와 이름으로 접근하고. 함수는 별도로 객체 안의 함수이름으로 접근해서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합니다.
++연산자(전치)
++ 연산자는 변수 앞에 붙이거나 뒤에 붙일 수 있습니다. 변수 앞에 붙이면 값을 1 증가시킨 후에 해당 변수의 값을 반환하고, 변수 뒤에 붙이면 해당 변수의 값을 반환한 후에 값을 1 증가시킵니다.
{
var score = 10;
++score;
var result = ++score;
console.log(result, score);
score++;
var result = score++; //result=10, score=11
}
결과 확인하기
12, 12++연산자(전치)
먼저 값을 증가 시키고 그 값을 저장 함.
++연산자(후치)
-- 연산자도 선연산자와 마찬가지로 변수 앞에 붙이거나 뒤에 붙일 수 있습니다. 변수 앞에 붙이면 값을 1 감소시킨 후에 해당 변수의 값을 반환하고, 변수 뒤에 붙이면 해당 변수의 값을 반환한 후에 값을 1 감소시킵니다.
{
var score = 10;
var result = score++;
console.log(result, score);
}
결과 확인하기
10, 11++연산자(후치)
후치 연산자는 처음 선언시 값을 증가시키지 않습니다. 그리고 다시1번 호출이 되면 그때 값이 증가가 됩니다.
선연산자, 후연산자 예제1
선연산자와 후연산자를 활용한 예제입니다.
{
let hap, j, k, l;
j = k = l = 1;
hap = ++j + k++ + ++l;
console.log(hap);
console.log(j);
console.log(k);
console.log(l);
}
결과 확인하기
5, 2, 2, 2선연산자, 후연산자 예제1
j,l은 선연산자로 값이 증가가 됩니다. k는 후연산자로 값이 1번더 호출이 되어야 증가가 됩니다.
선연산자, 후연산자 예제2
선연산자와 후연산자를 활용한 예제입니다.
{
let sum = 0;
for(let i=0; i<=10; i++){
sum += i;
}
console.log(sum);
}
결과 확인하기
55선연산자, 후연산자 예제2
for문으로 예를 든것으로 증감씩 값이 계속 1씩 증가가 되는 것입니다.
선연산자, 후연산자 예제3
선연산자와 후연산자를 활용한 예제입니다.
{
let a=1, b=2, c=3, result;
result = ++a + b++ + ++c;
console.log(result);
console.log(a);
console.log(b);
console.log(c);
}
결과 확인하기
8, 2, 3, 4선연산자, 후연산자 예제2
a,c는 선연자로 값이 1이 증가가 됩니다. b는 후연산자로 1번더 호출이되어야 값이 증가가 됩니다.
선연산자, 후연산자 예제4
선연산자와 후연산자를 활용한 예제입니다.
{
let x=7, y=7, result;
result = x>y ? ++x : y--;
console.log(result);
console.log(x);
console.log(y);
}
결과 확인하기
7, 7, 6선연산자, 후연산자 예제2
x와 y값을 비교합니다. 하지만 둘다 값이 같으므로 false가 실행이 됩니다. 그래서 y값은 후연산자로 7이 그대로이고 1번더 호출이 되어야 6으로 감소 됩니다.
선연산자, 후연산자 예제5
선연산자와 후연산자를 활용한 예제입니다.
{
let a, b, c, result;
a=20, b=30, c=30;
result = a>b ? b++ : --c;
console.log(result);
console.log(a);
console.log(b);
console.log(b+c);
console.log(c);
}
결과 확인하기
29, 20, 30, 59, 29선연산자, 후연산자 예제5
typeof 설명
숫자형, 문자형 데이터를 typeof로 확인하는 예제입니다.
{
let x = 100, y=200, z;
const func = function() {};
document.write(x);
document.write(typeof(x));
document.write(y);
y="200";
document.write(typeof(y));
x=500;
document.write(typeof(x));
document.write(z);
document.write(typeof(z));
document.write(func);
document.write(typeof(func));
}
결과 확인하기
100 number 200 string number undefined undefined function() {} function선연산자, 후연산자 예제5